카리스랜드

김동호목사 - facebook에서 펌

포항부동산정보공인중개사사무소 2012. 8. 22. 09:27

1. 우리 민족은 매우 배타적인 성향을 지니고 있습니다.

2. 우리 민족은 백의민족이라 추켜세우고, 다른 민족은 왜놈, 뙤놈, 오랑케라고 불러야 직성이 풀리는 그런 면이 좀 있습니다.
...


3. 그래서 외국인이 뿌리를 내리고 살기에 가장 어려운 나라가 우리 한국입니다.

4. 그런 나라에 우리 기준으로 보면 외래종교라고 할 수 있는 기독교가 세계선교사상 그 유례를 쉽게 찾아 볼 수 없는 부흥과 성장을 하였습니다.

5. 우리나라가 일본에 합방되기 전 우리나라는 일본에 빚을 많이져서 정치적 속국이 되기 이전에 먼저 경제적 속국이 되었었습니다.

6. 교회가 앞장서서 국채보상 운동을 일으켰습니다.

7. 남자들은 금연운동을 벌였습니다. 담배를 끊고 담배값을 모아 나라 빚을 갚자는 뜻이었습니다.

8. 교회의 이와 같은 운동에 감동하신 고종황제께서 금연을 실천하시고 교회에 금일봉을 보내셨습니다.

9. 여자들은 탈환회(가락지 뽑기 운동)를 조직하여 금모으기 운동을 전개하였습니다.

10. 금을 모으면서 세웠던 목표가 참 감동적입니다.

11. 금을 모아, 나라 빚을 갚자. 민족자본을 육성하여 민족기업을 세우자. 학교를 세워 민족의 지도자를 키우자.

12. 정말 근사했습니다.

13. 삼일 운동 때는 일등으로 앞장서서 만세를 불렀습니다. 그리고 일등으로 감옥에 투옥되었습니다.

14. 백지도 둘을 가지고 한 지도에는 당시 만세 운동이 일어났던 곳의 점을 찍고, 또 한 지도에는 당시 교회들이 있던 곳의 점을 찍은 후 두 지도를 합치면 일치한다는 말을 민경배 교수님으로부터 들은 적이 있습니다.

15. 당시 한국교회는 작은 교회였습니다. 자기 예배당 하나 변변하게 없는 초라한 교회였습니다. 그러나 근사한 교회였습니다. 훌륭한 교회였습니다. 매력적인 교회였습니다. 나라와 민족과 백성들에게 감동을 주는 교회였습니다.

16. 저는 그것이 교회 성장의 원인과 비결이었다고 생각합니다.

17. 몇 년 전 어느 앤티 사이트에 올라온 기사의 타이틀을 잊을 수 없습니다.

18. "한국 교회 딱 세 마디. 모여라, 돈 내라, 집짓자."

19. 초기 우리 한국교회의 목적은 세상이었습니다. 초기 우리 한국교회는 세상을 섬기는 교회, 세상의 복이 되는 교회였습니다.

20. 요즘 우리 한국교회의 목적은 교회입니다. 교회가 교회의 목적이 되었습니다. 요즘 우리 한국교회는 목적을 상실한 교회가 되었습니다.

21. 교회의 개혁은 교회의 존재목적을 회복하는데서 부터 출발해야 할 겁니다.

22. 사랑하는 우리 한국교회가 교회를 사랑하는 교회가 아니라 세상을 사랑하는 교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23. 자신을 섬기는 교회가 아니라 세상을 섬기는 교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http://cafe.daum.net/charisland